이렇게 망각이 습관화된 상태를 감각운동기억상실증이라 한다.
* 원문:
This habituated state of forgetfulness is called sensory-motor amnesia(SMA).
* 해설:
이 문장은 [소마틱스] 서문에서 발췌했습니다(원서 xiii, 번역서 xviii).
감각운동기억상실증은 특정한 근육을 감지하고 통제하는 방식에 대한 기억을 잃은 상태를 말합니다. 토마스 한나가 이야기하는 소마틱스의 핵심 개념이죠. 소마를 건강하게 하는 게 토마스 한나가 이야기하는 소마틱스의 목표입니다. "소마의 문제"가 곧 감각운동기억상실증이라면, 이게 왜 발생하고, 어떻게 해야 풀어낼 수 있는지 알아야겠죠. 책을 정독하시길 ^^
감각운동기억상실증을 제거, 감소시켜 문제가 생긴 근육(주로 수의근)을 감지하고 통제할 수 있게 해주는 구체적인 운동이 소마운동(somatic exercise)입니다. 물론 소마운동을 알려주면서, 감지와 통제를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전문가가 도움을(터치워크 등을 통해) 줄 수도 있습니다.
토마스 한나가 이야기하는 감각운동기억상실증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는 개념이 "근육재훈련요법"의 창안자인 크레이그 윌리암슨의 비기능적 움직임패턴(DMP, Dysfunctional Movement Patterns)입니다. 이 개념은 [근육재훈련요법]이라는 책에 잘 나와 있습니다.
* 번역팁:
"This habituated state of forgetfulness"와 같은 of를 중심으로한 구를 해석할 때 of 뒤쪽에 있는 명사를 주어나 목적어로 놓고 앞쪽의 것을 술어로 번역한 후 전체 문장과 연결성을 살리면 매끄럽게 이어지곤 합니다. "망각이 습관화되었다. 이 상태가 바로~~~" 이런 느낌으로요. 어쨌든 A of B 구조를 이렇게 번역하는 테크닉을 알고 있으면 훨씬 어려운 문장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To our regret, lack of time kept me from doing somatic exercise with them.
애석하게도, 시간이 없어서 나는 그들과 소마운동을 하지 못했다.
lack of time을 "시간의 부족"으로 번역하는 것보다, "시간이 없어서"로 번역하면 뒤쪽의 문장은 원인에 따른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