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마3

아치앤컬 동작을 통해 요근을 이완하는 방법. "15분 소마운동"의 저자 마샤 피터슨이 소개하는 요근 팬디큘레이션, 소마틱스 움직임 탐험 요근, 좀 더 넓게는 장요근은 인체 코어를 구성하는 근육 중에서도 정말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근육입니다. [코어인지]란 책을 쓴 리즈 코치는 "장요근 복합체(iliopsoas complex)"라는 용어를 만들 정도죠. 롤핑의 창시자인 아이다 롤프 또한 요근의 중요성을 엄청나게 강조합니다. 바디워크 기법을 쓰든 소마틱스 접근법을 활용하든, 이 코어 중의 코어인 요근을 다루지 않고 몸의 균형과 정렬 문제에 접근할 수는 없습니다. 요근을 푸는 방법도 굉장히 다양합니다. 하지만 이 근육이 인체 표면에 있는 근육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손으로 풀기가 쉽지 않고, 특정한 도구를 활용해도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정한 자세를 활용한 스트레칭을 해준다고 해도, 스트레칭은 스트레칭일 뿐.. 2023. 9. 3.
매주 토요일 저녁 10시 "소마코칭 온라인 워크숍"을 합니다. 유튜브 "소마코칭스튜디오" 채널로 접속해주세요._소마틱스, somatics 매주 토요일 저녁 10시 "소마코칭 온라인 워크숍"을 합니다. 유튜브 "소마코칭스튜디오" 채널로 접속해 주세요. 현재(2023년 8월 24일) 총 4회 차가 진행되었습니다. 온라인 워크숍은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지만, 참여 시 다음 사항을 지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미리 앞 회차 영상을 보고 가볍게 내용을 확인하시고 오시면 좋습니다. 비록 저녁 10시에서 11시 사이에 부담 없이 온라인 워크숍을 하지만 앞 회차를 미리 보고 오시지 않으면 따라가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앞에서 했던 내용에 새로운 내용을 첨가하는 경우, 앞의 것을 새로 설명하기엔 시간이 부족할 수 있거든요. 2. 대화에 참여해 주세요.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익명으로 지켜만 볼 수도 있지만, 그래도 대화에 참가.. 2023. 8. 24.
15분 소마운동, 자세교정 소마틱스, 팬디큘레이션 원리 소개. [15분 소마운동]/마샤 피터슨 지음, 최광석 옮김/군자출판사, 2014년 토마스 한나가 쓴 [소마틱스]를 먼저 읽고, 이 책 [15분 소마운동]을 읽으면 좋습니다. 소마틱스는 "소마에 대한 학문"입니다. 물리학처럼 하나의 학문 영역입니다. 이 영역 안에 다양한 기법(technique, method, etc.)이 존재하죠. 대표적인 소마테크닉(somatic technique, 소마틱스 분야의 테크닉이나 요법을 보통 소마테크닉으로 명명합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서는 소마테크닉을 특수한 테크닉의 일종으로 보는 분들도 많습니다. 저는 소마테크닉과 원리를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소마학습"은 리사 카파로가 창안한 소마테크닉이지만, 그 안에서 사용하는 "상호침투(interpenetration)"는 하나의 원리입니.. 2023.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