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니드2 열심히 걷거나 뛰어야 하는 이유. 이족직립보행과 두뇌, 그리고 호미니드 많은 이들이 두뇌의 발전이야 말로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근원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화석인류(化石人類)와 문화유물에 나타난 증거에서, 이족직립보행(二足直立步行)에 알맞은 신체구조의 변화가 먼저 이루어지고, 뇌의 발달은 이보다 늦게 진행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인간의 조상이 유인원(apes)에서 인류로 진화했다는 것을 밝혀주는 증거들은 차고도 넘치죠. 지금도 계속 관련 화석과 유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간을 동물분류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호모 사피엔스에 대해 정확히 배워봅시다. 사피엔스종(種, species Sapiens) 호모(사람) 속(屬, genus Homo) 호미니드과(科, family Hominid) 호미노이드초과(超科, superfamily Ho.. 2023. 9. 13. 자세의 진화. 춘추전국시대 노자와 진화생리학 춘추전국시대를 살았던 노자와 그 제자 집단에 의해 편집되었다고 알려진 [도덕경(道德經)]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하늘아랫사람들이 모두 아름다움의 아름다움 됨을 알고 있다. 그런데 그것은 못생김이다. 하늘아랫사람들이 모두 좋음의 좋음 됨을 알고 있다. 그런데 그것은 좋지 못함이다.”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¹) 이 글은 아름다움(美)과 좋음(善)이 상대적으로 결정됨을 이야기한다. 내가 봐서 아름다운 게 물고기 눈에는 못생기게 보일 수 있다. 총각 참치가 아가씨 참치의 아름다운 몸매를 좋아할 수는 있지만 인간의 눈으로 보면 둘 다 초밥 재료로 보일 뿐이다.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배우 이병헌과 김태희는 물고기 눈에 단지 도망가야 할 괴물일 뿐이다. 아름다움과 좋음이 보는 관점.. 2023. 9.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