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펠든크라이스5

내가 소마틱스를 좋아하는 이유 오늘은 제가 평소에 소마틱스에 대해 가지고 있던 생각을 말해보려고 합니다. 소마틱스를 좋아하는 이유쯤 되겠네요. 소마틱스는 하나의 학문 영역입니다. 이 영역 안에 다양한 테크닉이 존재하죠. 이를 소마테크닉(somatic techniques)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물리학이라는 학문 영역 안에는 광학, 전자기학, 열역학, 유체역학, 우주공학, 초전도체 물리학, 인공지능공학 등이 존재합니다. 물리학은 워낙 학문 범위가 넓기 때문에 다른 학문과 겹치기도 합니다. 생체역학이나 의공학은 생명공학과 의학이 물리학과 만나서 탄생한 융합 학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구공학은 도대체 어떤 학문일까요? 딱 떨어지게 어디서 어디까지 물리학 영역인지 정의하기 애매모호합니다. 지구의 물과 대기 성분을 연구하면 화학, 생명.. 2023. 9. 16.
무려 약 천만 년 전부터 두 발로 서서 걸었다. 진화, 인지, 그리고 소마틱스 인류 진화의 역사는 많은 부분 논쟁에 휩싸여 있지만, 지구상의 모든 고인류학자들이 인정하는 한 가지 사실은 다음 두 단어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움직였다." "그것도 꽤 많이. 풍부하던 열대우림이 줄어들기 시작하여 가까이에서 식량을 조달하기가 어려워지자, 인류는 점점 황량해져 가는 들판을 방황하며 식량이 되어줄 나무들을 찾아야만 했다. 기후가 점점 더 건조해짐에 따라 이런 '식물성 자판기'는 모두 사라졌다. 복잡한 나무를 오르내리는 민첩성이 요구되는 3차원적 활동대신, 인류는 메마른 초원 위를 이리저리 걸어 다니며 2차원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체력이 엄청나게 필요한 일이었다." ([브레인 룰스]/존 메디나 지음, 서영조 옮김/프런티어 출판사/2009) 지구의 역사를 큰 사건 중심으로 정리해 .. 2023. 9. 13.
소마틱스는 언제 시작되었을까요? 토마스 한나(Thomas Louis Hanna, 1928~1990)가 소마틱스(somatics)라는 용어를 만든 해가 1976년입니다. 이에 대해 위키피디아에서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합니다. Thomas Louis Hanna(November 21, 1928 ~ July 29, 1990) was a phylosophy professor and movement theorist who coined the term somatics in 1976. (토마스 루이스 한나는 철학 교수이자 움직임 이론가인데, 1976년에 somatics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토마스 한나는 [Bodies in Revolt](1970), [The body of life](1980)라는 책과 몇 권의 철학 관련 텍스트를 냈는데, 1988년.. 2023. 8. 27.
구별은 차이를 정의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유사성이나 간과했던 공통점이 드러나면서 통합을 이룬다. from 인사이드아웃 구별은 차이를 정의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유사성이나 간과했던 공통점이 드러나면서 통합을 이룬다. 인간은 구별을 통해 학습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엄밀하게 구별할 수 있다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를 수 있다. * 원문: Distinctions separate by defining differences, but they can also unify by unearthing similarity or interconnections commonly overlooked. With ever-finer distinctions we gain ever-finer understanding and control, because distinctions enables us t.. 2023. 8. 26.
15분 소마운동, 자세교정 소마틱스, 팬디큘레이션 원리 소개. [15분 소마운동]/마샤 피터슨 지음, 최광석 옮김/군자출판사, 2014년 토마스 한나가 쓴 [소마틱스]를 먼저 읽고, 이 책 [15분 소마운동]을 읽으면 좋습니다. 소마틱스는 "소마에 대한 학문"입니다. 물리학처럼 하나의 학문 영역입니다. 이 영역 안에 다양한 기법(technique, method, etc.)이 존재하죠. 대표적인 소마테크닉(somatic technique, 소마틱스 분야의 테크닉이나 요법을 보통 소마테크닉으로 명명합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서는 소마테크닉을 특수한 테크닉의 일종으로 보는 분들도 많습니다. 저는 소마테크닉과 원리를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소마학습"은 리사 카파로가 창안한 소마테크닉이지만, 그 안에서 사용하는 "상호침투(interpenetration)"는 하나의 원리입니.. 2023. 8. 24.